정약용 유적지 `강진 사의재’ 재조명…文 정부인사 포럼명과 동일

[강진=뉴시스] 배상현 기자 = 문재인 정부 인사들로 구성된 정책포럼 ‘사의재’가 출범하면서 ‘강진 사의재’도 주목받고 있다.

18일 강진군에 따르면 이날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출범한 포럼 사의재는 지난 국정운영을 되돌아보며 더 나은 대한민국을 위한 대안을 발굴할 계획이다.

포럼명인 ‘사의재’는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인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제안으로 결정됐다.

같은 이름인 강진 사의재(四宜齋)는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1801년 강진에 유배됐을 때 머물던 주거지다.

다산은 이곳에서 1805년 겨울까지 4년간 머물렀는데 다산은 ‘네 가지를 올바로 하는 이가 거처하는 집’이라는 뜻으로 ‘사의재’라고 지었다.

‘생각은 맑게, 용모는 단정하게, 말은 적게, 행동은 무겁게’라는 뜻으로 몸과 마음을 다잡아 국가 혁신과 애민, 학문 연구에 정진하겠다는 다산의 의지가 담겨 있다.

다산이 조선의 난제들을 해결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수많은 저서를 남긴 곳이 사의재이기도 하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이 이 곳에서 편찬됐다.

강진군은 사의재 명소화를 위해 한옥 체험관, 저잣거리 등 주변 시설과 연계,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대표 관광 명소로 조성 중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강진의 특별한 인연은 강진을 대표하는 꽃 가운데 하나인 ‘작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역사적인 순간을 장식했던 꽃이 바로 강진 작약이다. 두 정상 양옆에 놓인 꽃장식과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오며 초등학생들로부터 건네받은 꽃다발, 만찬장 테이블을 화려하게 수 놓은 꽃 모두, 강진 작약이었다.

남북정상회담을 빛낸 조연으로 작약이 사용된 것은 북한의 국화가 ‘함박꽃나무’로 우리나라 작약의 한 종류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공감언론 뉴시스 praxis@newsis.com


– 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30118_0002163258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