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잘 못합니다ㅎㅎ” – 유명 뇌과학자가 알려주는 ‘바람기 없고 가정적인 수컷’이 잘 못한다는 1가지

바람 피는 사람은 높은 확률로 그런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얘기 들어보셨죠?

바람 피는 수컷과 가정적인 수컷은 뇌에 약간 다른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

“저도 잘 못합니다ㅎㅎ” – 유명 뇌과학자가 알려주는 ‘바람기 없고 가정적인 수컷’이 잘 못한다는 1가지

그래서 그런지 바람 피는 수컷이 가정적인 수컷에 비해 잘하는 것이 있다고 하는데요.

한 뇌과학자가 외도하는 유전자를 가진 수컷의 특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들쥐를 가지고 실험을 했다고 합니다.

바람피는 외도형 들쥐와 가정적인 들쥐가 있는데요.

같은 들쥐인데 왜 한쪽은 가정적이고 한쪽은 왜 외도를 할까 궁금해서 과학자들이 이 들쥐들의 뇌를 꺼내서 분석했다고 합니다.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뇌를.. 꺼냈다고 합니다.

아무튼 그래서 그 뇌를 비교한 결과 그 원인물질을 찾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뇌의 단면에서 보이는 ‘배쪽 창백’이라는 뇌 부위라고 합니다.

특수 뇌 부위인데 바로 ‘정(情)’을 쌓는데 중요한 ‘바소프레신’이라는 수용체를 만들어 내는 곳이라고 하는데요.

이 부위에서 바소프레신이 많이 나오면 ‘정’을 많이 쌓게 되고 가정적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 ‘바소프레신 수용체’를 외도하는 들쥐의 뇌에 넣어보니, 가정적인 쥐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사람에게도 똑같이 하면 되지 않을까요?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네, 안타깝게도 과학윤리 때문에 바람둥이를 없앨 수는 없는 모양인데요.

그런데 외도방지시술(?)을 받지 않은, 외도하는 들쥐에게서는 한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바로 공간 학습 능력이 높다는 것인데요.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간단하게 말해서 이 ‘외도하는 들쥐’는 길을 잘 찾더라는 것입니다.

출처 :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많이 돌아다녀서 많은 암컷을 만나야 할 필요도 있고, 어디에 어느 암컷이 있는지를 잘 알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결론은 이겁니다.

여러분의 남자친구, 혹은 남편이 공간학습능력이 좀 떨어져서 길을 잘 못찾거나 하는 모습을 보이더라도 너무 실망하지 마시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가정에 충실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원본 영상 : 해당 영상 보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error: Content is protected !!